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페브릭정 효과 효능 부작용

by 시큐시큐12 2020. 6. 2.
반응형

페브릭정은 통풍 환자들을 위한 고요산혈증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이다. 통풍 발병 원인은 체내에서 요산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영향이기 때문에 요산관리는 정말 중요한 일이다. 정상인의 경우 소변을 통해 요산을 배출할 수 있지만 통풍 환자의 경우 신장 기능 이상으로 인해 소변으로 요산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고 이렇게 체내에 남아있는 요산이 관절에 쌓여 통풍 통증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흔히 통풍 통증이 발병 했을때와 관리할때를 잘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 오늘은 페브릭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봄과 동시에 통풍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려고 한다.

급성통풍

급성통풍은 말 그대로 급성으로 통풍 통증이 찾아온 경우를 말한다. 보통 통풍이 처음 시작되는 사람들이 첫 통풍을 느낄때 또는 통풍을 앓고 있는 사람이 통증이 느껴질 시기를 급성통풍이라고 한다. 급성통풍이 발생한 경우는 이미 요산이 쌓일대로 쌓여 통증 부위에 자리한 상황이니 이때는 페브릭정을 먹는 것은 의미가 없다.

급성통풍 치료약

블로그 포스팅을 이미 찾아본 사람들은 알고 있겠지만 급성통풍 치료약은 페브릭정이 아니고 콜킨정이다. 콜킨정은 급성통풍으로 찾아온 통증을 잡아주는 약이다. 하지만 이는 통풍 환자들이 평시 복용하는 약이 아닌 말 그대로 통증이 찾아왔을때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복용하는 약이다. 하지만 최근 콜킨정의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면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처방해주는 병원이 많다. 콜킨정 또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또는 낙센에프정을 복용하면 급성 통풍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증상에 따라 통증이 가라 앉는데는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요산관리

급성 통풍이 찾아온 경우가 아니더라도 통풍 환자들의 요산관리는 평시 꼭 필요하다. 통증이 없더라도 요산이 체내에 쌓이기 시작하면 이는 곧 관절에 자리잡고 결정을 이룬다. 이 결정이 이뤄지면 또 다시 급성통풍이 찾아오는 것이다. 때문에 평소에 요산관리를 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요산관리를 위해 복용하는 약이 바로 페브릭정이다. 페브릭정 이외 자이로닉정 이라는 약도 있는데 효능은 거의 비슷하다.

페브릭정 40mg / 80mg

페브릭정은 40mg과 80mg 두가지 종류로 나눠진다. 그럼 어떤 약을 복용해야할까? 페브릭정 복용이 처음이라면 40mg을 복용해야한다. 처음부터 80mg을 복용하게되면 약에 내성이 생겨 이후 40mg으로는 요산수치를 낮출수 없다. 하지만 처음 40mg으로 효과를 볼 수 없다면 80mg을 복용하면 된다. 이것 마저 효과가 없다면 내가 알고 있는 지식으로는 약을 추가로 더 복용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

복용방법

페브릭정은 1일 1회만 복용하면 된다. 위에 설명했듯 효과를 볼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1일 1회만 복용하면 된다. 하지만 효과를 볼 수 없다면 그건 의사와 상의해보길 바란다. 1일 1회 이상 투여한다는 사람은 나도 아직 보지 못했다.

부작용

페브릭정에 대해 부작용이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다. 임상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간기능 이상, 구역, 관절통, 발진 등의 부작용이 발생했고 임상 실험자 중 1% 미만에서만 이같은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으로

통풍을 겪고 있다면 페브릭정 복용은 필수다. 경험자로 이야기하자면 페브릭정을 복용하기 전 본인의 보험가입 여부를 꼭 파악해라 페브릭정을 장기복용하기 시작하면 보험가입이 거절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많은 손해를 볼 수 있다. 또 약을 복용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음주, 육류 위주의 식단 등 통풍 환자들은 개선해야할 부분이 굉장히 많다. 많은 통풍 환자들이 이 포스팅을 통해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