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 변경내용 기록 중지|빨간 글씨, 취소선 없이 깔끔하게 저장하는 법

by 시큐시큐12 2025. 4. 9.
반응형

한글 변경내용 기록 중지|빨간 글씨 없애고 깔끔하게 저장하는 법

한글 변경내용 기록 중지 방법을 찾고 계신가요?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수정할 때마다 빨간 글씨가 생기고 삭제한 부분에 줄이 생기는 등 보기 불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기능은 '변경 내용 추적' 기능이 켜져 있어서 생기는 현상인데요, 오늘은 이 기능을 끄는 방법부터 기존 기록을 지우고 최종본으로 저장하는 법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목차 열기/접기

1. 변경 내용 기록이란?

한글 문서에서 '변경 내용 기록'은 문서 작성 중 삭제, 삽입, 교체 등의 모든 수정을 기록하고 표시해주는 기능입니다. 협업 중 수정 사항을 확인할 때 유용하지만, 혼자 쓰는 문서에서는 불필요하게 빨간 글씨와 취소선이 생겨 보기 불편합니다.

2. 한글 변경내용 기록 끄는 법

한글에서 이 기능을 끄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 중 하나를 선택해서 설정해보세요.

  1. 하단 상태 표시줄에 '변경 내용 [기록 중]' 클릭 → '기록 중지'
  2. 또는 상단 '검토' 탭 → '변경 내용 추적' 버튼 클릭 → 꺼짐으로 전환

설정을 끈 뒤에도 이전 기록은 남아 있으니, 별도로 반영 또는 삭제해줘야 합니다.

 

3. 기존 기록 반영하거나 삭제하는 법

변경 내용을 기록하는 기능을 껐다고 해서 이전 기록이 자동으로 사라지진 않습니다. 아래 2가지 방식 중 하나로 문서를 정리할 수 있어요.

  • 변경 내용 적용: 상단 '검토' → '변경 내용 적용' → '문서 전체 적용'
  • 변경 내용 삭제: 상단 '검토' → '변경 내용 적용' → '문서 전체 취소'

적용하면 빨간 글씨가 일반 글씨로 바뀌고, 삭제된 내용은 사라져 문서가 깔끔해집니다.

4. 변경 내용 표시 안 보이게 설정하기

기록은 유지하면서 눈에만 안 띄게 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설정하세요.

  1. 상단 '파일' → '문서 정보' → '검토'
  2. '표시 형식'에서 '표시 안 함' 선택

이렇게 하면 빨간 표시나 취소선 없이도 문서를 깔끔하게 볼 수 있습니다. 단, 실제로 삭제되거나 반영된 것은 아니니 주의하세요.

 

Q&A. 자주 묻는 질문

Q1. 빨간 글씨는 왜 생기는 건가요?

A1. '변경 내용 추적' 기능이 켜져 있어서 그렇습니다. 해당 기능을 끄면 더 이상 표시되지 않아요.

Q2. 변경내용 적용/취소의 차이는?

A2. '적용'은 현재 표시된 상태 그대로 확정하는 것이고, '취소'는 모든 변경 기록을 없애는 기능입니다.

Q3. 공동 작업 중엔 꺼도 되나요?

A3. 협업 중이라면 가능하면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최종본을 만들 땐 끄고 정리하세요.

반응형